반응형
1. H2 DataBase란?
H2 데이터베이스는 설치가 필요 없고 용량이 가벼우며 개발용 로컬 DB로 사용하기 좋은 DBMS이다.
- 자바 기반의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서버(Server) 모드와 임베디드(Embedded) 모드의 인메모리 DB 기능을 지원.
- 브라우저 기반의 콘솔 모드를 이용할 수 있음.
- 별도 설치과정이 없고 2.5MB 이하의 저용량 DB.
- 표준 SQL의 대부분을 지원
- 로컬 및 테스트 환경에서 많이 사용됨.
2. 설치 후 사용법
1. http://h2database.com/html/main.html 에서 다운로드.
2. C:\Program Files(x86)\H2\bin 위치에서 h2 window 파일 실행하기.
H2 DB
H2 DB에는 3가지 모드가 있다.
- Server Mode
- Embedded Mode
- In-Memory Mode
1. Embedded Mode로 DB 파일 생성
저장한 설정 : Generic H2 (Embedded)
JDBC URL : jdbc:h2:~/db명
이후 연결 시 DB 파일이 생성되며,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는 그대로 사용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에 db명.mv.db 파일이 생성된다.
접속이 완료되었다면 테이블 생성 및 테이블 조작(DML)이 가능하다.
2. Server Mode
저장한 설정 : Generic H2 (Server)
JDBC URL : jdbc:h2:tcp://localhost/~/[db명]
Embedded 모드에서 생성해준 db file에 TCP 모드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후 접속하면 H2 DataBase에 접근이 가능하다.
3. Spring Configuration
이후 application.yml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rl: jdbc:h2:tcp://localhost/~/[db명]
username: sa
password:
jpa:
hibernate:
ddl-auto: none // 개발 시에는 creat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logging:
level:
org.hibernate.SQL: debug
반응형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ecurity + JWT + Redis를 활용한 로그인 구현 (1) (0) | 2024.07.20 |
---|---|
[Spring] WebClient를 통한 공공데이터 Open API 호출 (0) | 2024.07.17 |
[Spring] Spring만의 유효성 검사 @Valid, @Validated 정리 (1) | 2024.06.27 |
[Spring] createdAt, updatedAt 사용하기 (0) | 2024.06.19 |
[Spring] Spring Security + OAuth2 + JWT [카카오 소셜 로그인 구현] (1)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