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JPA Hibernate의 ddl-auto 속성 분석하기
·
Back-end/Spring
JPA의 구현체 중 하나인 하이버네이트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중 엔티티를 등록하면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수정해주는 ddl-auto라는 설정이 있다. 사용법- application.yml jpa: hibernate: ddl-auto: # create, none, validate, update, create-drop ddl-auto 속성ddl-auto에 올 수 있는 속성은 다음과 같다. 1. create2. create-drop3. update4. validate5. none createcreate는 단어 그대로 엔티티로 등록된 클래스와 매핑되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create)해준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해..
[Spring] data.sql을 사용하여 서버 실행 시 데이터 삽입하기
·
Back-end/Spring
흔히 서버를 실행할 때 DB에 더미 데이터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매번 컨트롤러에서 직접적으로 넣어주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었지만, 더 좋은 방법이 있었다. jpa의 ddl-auto: create 옵션 설정으로 entity 생성하고 추가적인 ddl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서버가 시작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 data.sql을 통해서 dml 작업을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1. application.yml 수정먼저 data.sql을 사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jpa.ddl-auto 속성값으로 create 또는 create-drop 으로 선언해야 한다! spring: jpa: database: mysql hibernate: ddl-auto: create # c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