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RDS vs AWS Aurora 비교 분석
·
Infra & Cloud/AWS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해서 공부를 하던 도중 RDS DB Instance와 Aurora DB Instance 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서 공부해보았다. Amazon RDS란?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쉽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이다.기존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쳐를 중심으로 완전히 관리되는 추상화 계층 제공RDS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은 EC2에서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 처럼 구축.적절한 AMI (Amazon Machine Image)에서 provisioning 되고, EBS스토리지는 provisioning된 인스턴스에 연결됨.적절한 서브넷 그룹과 보안 그룹이 인스턴스에 연결되는 구조...
[AWS] EC2 환경에서 Redis 구축하기
·
Infra & Cloud/AWS
0. redis란?REmote DIctionary Server‘키-값’ 구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in-momory data structure store 특징○ In-memory data structure문자열, hash, list, set, sorted set, stream 등의 자료형을 지원하는 “data structure server”○ ProgrammabilityLua를 사용한 server-side scripting과 Redis Functions를 이용한  server-side 저장 과정○ Persistence빠른 액세스를 위해 데이터 세트를 메모리에 보관하지만, 재부팅 및 시스템 오류가 발생해도 영구 스토리지에 대한 모든 쓰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Clusturi..
[AWS] EC2와 RDS 연결하기
·
Infra & Cloud/AWS
1. DB 생성RDS 탭에 들어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준다.프리티어를 사용할 예정이므로 과금 조건은 과감하게 해제한다!! RDS 확장 지원 활성화에 체크 해제 해야 한다 (과금 사항!!)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는 SpringBoot yml에서 DB Connection 설정과 Local 에서 Test 할때 필요하다.  스토리지 부분의 할당된 스토리지는 프리티어에서는 20 GB 가 제공된다.스토리지 자동 조정 기능은 과금 사항이므로 체크 해제해야 한다!!! - 퍼블릭 엑세스 : '예' 선택 시 VPC 외부에서도 해당 RDS에 접근이 가능, 같은 VPC의 EC2에서만 접근할 경우 '아니오' 선택* 만약 아니요를 선택한다면 퍼블릭IP가 할당되지않아,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 보안그룹은 EC2..
[AWS] EC2에 MySQL 적용 및 사용하기
·
Infra & Cloud/AWS
EC2에서 MySQL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이다.AWS RDS 사용로컬 환경에서 직접 MySQL 설치 후 사용Docker에서 DB Container image 다운로드개인 프로젝트를 하면서 2번째 방법으로 개발을 진행했었는데, EC2에서 MySQL에 직접 연결했었던 과정을 답습하고자 이 글을 기록한다. MySQL 적용 시 EC2가 생성이 되었다고 가정한다.1. EC2 인바운드 규칙 설정EC2에서 MySQL에 직접 접속하기 위해 MySQL 포트를 열어주어야 한다. EC2 > 보안 그룹(사용 중인 보안 그룹의 이름을 모른다면, 사용 중인 EC2의 요약 페이지로 들어가 하단의 '보안'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바운드 규칙 편집  아래와 같이 규칙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HTTP, SSH, 사용자 서..
[AWS] S3 이미지 업로드 및 EC2 연결하기
·
Infra & Cloud/AWS
Simple Storage Service (S3)란?사진, 동영상 등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서버 서비스. S3의 버킷에 파일을 업로드 하면, URL로 파싱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서버에 이미지나 파일 등을 업로드 할 때 로컬 서버에 저장할 경우 데이터가 쌓이다 보면 언젠가 용량이 초과되겠지? 따라서 S3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1. 확장성(Scalability)파일 서버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 인프라 및 용량 계획을 변경해야 되는데, S3가 확장 및 성능 부분을 대신 처리해준다. 2. 내구성(Durability)여러 영역에 여러 데이터 복사본을 저장하므로 한 영역이 다운되더라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복구가 가능하다. 이를 Spring 환경에서 적용해보..
[AWS] EC2에서 https 프로토콜 적용하기
·
Infra & Cloud/AWS
문제 상황프론트에서 배포 후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가 현재 http를 사용 중인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데 에러가 발생했다. http 80 포트에 접속하려는데, https 443 포트와의 충돌로 인한 문제였다. 이를 Mixed Content Error라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딴에서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거나 (react 환경 :  http-proxy-middleware) 서버에 SSL 인증서를 통한 https 프로토콜을 적용해야 한다. AWS Route 53으로 사용하면 쉽겠지만 어느 개발자님의 블로그를 참고하여 Nginx와 SSL 인증서를 통해 ec2에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EC2에서 docker를 이용하여 빌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사용해도 똑같이 적용..